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91

정보보안 용어 정보보안 용어 2013. 6. 21.
해킹기법 [해킹 기법] ① 서비스 거부 공격 생활의 모든 부분에서 인터넷을 이용하고 있으며, 모든 것이 빠른 속도로 변해 가고 있다. 이런 점을 이용하여 인터넷을 통한 공격도 다양해져서 사용자들이 곤란에 빠지기도 한다. 그런데 이 기법이 나날이 고도로 지능화 되고, 순식간에 전 세계로 퍼질 수 있으므로, 각 기업 보안담당자들은 이런 현상에 대해 정확히 대비할 수 있는 지식을 갖추는데 좀 더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할 필요가 있다. 앞으로 약 6회에 걸쳐, 가장 일반적이며 이슈가 되고 있는 해킹 기법과 대응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1. 서비스 거부 공격(Denial of Service Attack) 차를 몰아본 경험이 없는 사람이라 하여도, 출퇴근길 뿐만 아니라 시도 때도 없이 막히는 서울의 교통체증은 누구나 .. 2013. 6. 21.
경쟁조건을 이용한 해킹기법[안천수 연구소 펌] 2013. 6. 21.
해킹과 크래킹 해킹과 크래킹은 다르다? 이에 따라 긍정적인 해킹과 부정적인 해킹을 구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졌다. 기존의 악의 없는 해킹은 그대로 해킹이라 부르되, 남에게 해악을 끼치는 해킹은 크래킹(cracking)이라고 부르자는 것이다. 일부에서는 크래킹을 방지하기 위해 보안의 취약점을 찾아내는 행위를 해킹이라고 정의하기도 한다. 이들은 보안 전문가들은 해커라고 부르고 범죄자들은 크래커라고 불러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반면 해킹/크래킹의 이분법적 구도에서 벗어나 더 세분화된 용어가 필요하다고 주장하는 사람들도 있다. 이들은 다양한 기준에 따라 화이트햇, 블랙햇, 그레이햇, 블루햇 등으로 해킹을 구분한다. 화이트햇(White hat) 화이트햇은 ‘착한 사람’이라는 뜻으로 악의가 없는 해킹을 말한다. 예를.. 2013. 6.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