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91

알아야할 리눅스 기본 명령어 10가지 1. ls - 현재 위치의 파일목록을 조회하는 명령어 2. cd - 디렉토리를 이동하는 명령어 3. touch - 파일의 용량이 0인 파일을 생성 날짜 변경하는 명령어 4. mkdir - 디렉토리를 생성하는 명령어 5. cp - 파일을 복사하는 명령어 6. mv - 파일을 이동시키는 명령어 7. rm - 파일을 제거하는 명령어 8. cat - 파일의 내용을 화면에 출력하거나 파일을 만드는 명령어 9. redirection - 화면에 출력되는 결과를 파일로 저장하는 명령어 10. alias - 자주 수행하는 명령어들을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명령어 ls 는 현재 위치의 파일 목록을 조회하는 명령어 입니다 주요 옵션으로는 ls l : 파일들의 상세정보를 나타냅니다 ls a : 숨어있는 파일들도 표시.. 2020. 3. 19.
CentOS 리눅스 소개 리눅스의 개요 - 리눅스 = 무료 유닉스 - 1991년 "리누스 토르발스"가 어셈블리어로 버전 0.01을 최초로 작성 - 1992년 0.02 버전을 공개하면서 시작됨 - 리누스 토르발스는 커널(kernel)만 개발 - 커널에 컴파일러+셸, 기타응용 프로그램들이 조합된 배포판 => 리눅스 일반적인 리눅스 배포판의 구성 -> 하드웨어)커널)셸)응용프로그램 GNU 프로젝트 - 1984년 리처드 스톨먼에 의해 시작 - 목표 : "모두가 공유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만드는 것 - 1985년 자유소프트웨어 재단 설립(FSF) -> GNU 프로젝트에서 제작한 소프트웨어 지원 -> 누구든지 소프트웨어를 자유롭게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 목표 FSF에서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대부분은 GPL 라이선스를 따르도록 함 - 소프트.. 2020. 3. 19.
운영 체제의 구조 제 3장 운영 체제의 구조 운영체제의 기능 •운영체제의 기능 •시스템의 자원 관리 •CPU, 메모리, 보조기억장치, 입출력장치, H/W 및 S/W 자원 •가상 컴퓨터 제공 •시스템 H/W와 상관없이 운영체제에 따라 유일한 인터페이스 제공 •커널(Kernel) •운영체제의 방대한 기능을 모두 메모리에 상주 시킬 수 없음 •운영체제의 핵심적인 부분인 커널만 메모리에 상주함 •시스템 호출(System Call)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 •Booting: 커널을 메모리에 적재하는 과정 •운영체제의 서비스 •시스템 호출: 자원 관리 및 사용에 관한 커널의 서비스 •시스템 프로그램: 운영체제 개발자가 프로그램 형태로 제공 •편집기, 컴파일러, 쉘(shell) 등 운영체제의 핵심: Kernel •Kernel •메모리에 .. 2020. 3. 19.
미국 구글 영국구글 일본구글 ▶ 미국구글 바로가기 http://www.google.com/ncr ▶ 영국구글 바로가기 https://www.google.co.uk/ncr ▶ 호주구글 바로가기 http://www.google.com.au/webhp?hl=en ▶ 프랑스구글 바로가기 https://www.google.fr/webhp?hl=fr ▶ 일본구글 바로가기 https://www.google.co.jp/webhp?hl=jp 2020. 3. 19.